최근 검색어
0

스토리

내일은쌤 스토리는 쌤들이 직접 올려주시는 컨텐츠로 만들어지는 공간입니다.

글쓰기

국내 생성 AI '뤼튼' 의 한국어 실력

에디터

2023년 03월 24일

  • 창의 STEM

  • 기타

  • 기타

 

안녕하세요. 내일은쌤 에디터입니다.

요즘 인공지능에 대한 담론이 굉장히 뜨겁습니다. 인공지능이 전문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범용기술로서 곧 우리 일상의 모든 분야에 접목되어 활용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인데요이미 인공지능이 널리 쓰이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글쓰기입니다

 

생성 AI(Generative AI)라는 용어 들어보셨나요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만들어내는(생성해내는인공지능을 말합니다최근 공개되어 전세계의 관심을 독차지하고 있는 미국 OpenAI의 ChatGPT 역시 생성 AI입니다. GPT가 놀라운 성능을 자랑하는 한편 아쉬움도 있는데요아무래도 방대한 영어 데이터에 비해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내 생성 AI서비스인 뤼튼(;wrtn)’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뤼튼은 마케팅 카피나 소셜미디어 피드 같은 짧은 글부터 블로그나 자기소개서 등의 긴 글까지 다양한 형태의 작문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는데요업무 특성상 글을 써야 할 일이 많은 저도 궁금하더라고요과연 인간이 작성한 것처럼 자연스러운 글을 쓸 수 있을까궁금하면 바로 테스트를 해봐야겠죠! 🔥🔥

 


 

뤼튼 사이트 로그인 후 블로그 글을 선택했습니다. 다음의 주제를 주고 어떤 글을 생성해내는지 보겠습니다.

 

[주제] "인공지능을 활용해 작성한 글입니다."

 

[AI vs 인간] "인간 승리"... '소설 쓰기' 도전한 AI (feat. 김초엽 작가)

 

요즘 핫한 AI 작가 GPT-3 을 아시나요기존 딥러닝 기반 언어 모델보다 더 강력해진 성능 덕분에 큰 화제인데요이러한 인기 덕에 트위터에서는 ‘GPT-3’ 관련 트윗만 하루 평균 3억 건 넘게 올라온다고 합니다그렇다면 실제 인간 작가와의 대결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요바로 확인해 보시죠!


인공지능(AI)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소설 창작에까지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지난 7월 공개된 오픈AI의 차세대 자연어 처리 모델인 GPT-3 는 무려 1,750억 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는데요이전 버전인 GPT-2 보다 100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참고로 현재 최고 수준의 컴퓨터 프로세서인 인텔 코어 i9-9900K 의 연산 능력이 약 4,000억 개 정도라고 하니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가시죠이렇게 엄청난 규모의 데이터를 학습한 뒤 탄생한 GPT-3 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글을 쓸 수 있다고 하는데요심지어 문법 실수나 철자 오류 없이 단 몇 분 만에 단편 소설 하나를 뚝딱 만들어낸다고 합니다정말 놀랍지 않나요그래서 저도 직접 한번 써봤습니다제목은 “오늘 점심 메뉴” 입니다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침에는 비가 오더니 오후부터는 날씨가 맑아졌다오늘 점심은 뭘 먹을까 고민하다가 근처 식당가로 향했다마침 새로 생긴 라멘집이 눈에 들어왔다가게 입구에서부터 진한 육수 냄새가 풍겨왔다나는 망설임 없이 그곳으로 들어갔다자리에 앉자마자 메뉴판을 살펴봤다돈코츠라멘미소라멘소유라멘 등등 다양한 종류의 라멘이 있었다한참을 고민하던 끝에 쇼유라멘을 주문했다잠시 후 먹음직스러운 라멘이 나왔다국물 맛을 먼저 보았다깊고 진한 풍미가 느껴졌다면발 역시 탱글탱글했고 차슈 토핑도 훌륭했다순식간에 그릇을 비워냈다계산을 하고 밖으로 나오니 기분 좋은 포만감이 밀려왔다다음엔 다른 메뉴도 먹어봐야겠다.

 

어때요? 제법 그럴싸하죠? 물론 아직까지는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머지않아 우리 곁에 성금 다가올 미래임은 분명합니다.

어떠신가요? 놀랍네요. 무엇보다 글을 쓰는 속도는 저를 능가하는 것이 확실합니다일말의 주저함 없이 일필휘지로 써내려 가는 느낌이네요물론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제목과 서론에서 제시한 내용이 본론에서 정확하게 다루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수정이 필요합니다하지만 문장에 오류가 있거나 전체 흐름이 부자연스럽지는 않으니 작가로서 아주 소질이​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



대형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여기서 더 궁금해집니다. 어떻게 ​인공지능이 글을 쓰는걸까요인간은 학습이나 경험을 통해 머리속에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데 말이죠인공지능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LLM(Large Language Model)이라고 하는 대형 언어 모델을 이용해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하는 건데요어떤 AI모델(LLM)을 사용하는지그것을 또 어떻게 세부적으로 조정하는지에 따라 각각의 특성을 가진 생성AI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뤼튼의 경우, ChatGPT의 기반인 GPT-3.5 뿐만 아니라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같은 국내기업들이 개발한 AI모델(LLM)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한국어 성능이 뛰어난 이유를 알 수 있겠네요. 

 


 

앞으로 글쓰기를 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긴장해야 할까요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빼앗고 사람을 대체하게 될까요뤼튼 테크놀로지스의 이세영 대표는 뤼튼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 배경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작업이 쉬워지면 다른 일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에 의구심이 들 때도 있지만적절히 이용할 줄 아는 사용자에게는 그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것도 사실입니다. 현명한 사용자가 되기 위해 내일은쌤도 선생님들과 함께 공부하겠습니다. 💕

 

 

[참고]

뤼튼

하이퍼클로바

중소상공인들의 한국형 챗 GPT '뤼튼' 어떻게 만들어졌나?

  

  • 3
  • 3
  • 0 p



상품 수령후 7일 이내 신청시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합니다. (상품박스 및 상품 훼손, 반품불가 표기 항목 제외)